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정보587

갈퀴나물 효능, 먹는 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 갈퀴나물이란갈퀴나물은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학명은 Vicia amoena FISCH.입니다. 우리나라 전역의 들판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만주, 시베리아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도 분포합니다.주요 특징생태: 땅속줄기(지하경)가 옆으로 뻗으며 번식하고,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아 길이 80~180cm까지 자랍니다. 줄기는 네모지고 잔털이 있습니다.잎: 어긋나며 짝수 우상복엽으로 10~16개의 작은 잎(소엽)으로 구성되고, 끝에는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습니다. 작은 잎은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꽃: 6~9월에 홍자색의 나비 모양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총상화서 형태로 한쪽으로 치우쳐 많이 핍니다.열매: 길이 2~2.5cm의 편평한 꼬투리(협과)입.. 2025. 6. 7.
고비나물 특징, 효능, 먹는 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 고비나물이란*고비나물*은 양치식물 고사리목 고비과(Osmund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Osmunda japonica입니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의 산과 들, 특히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생하며, 울릉도와 지리산, 경남 하동·구례 등지에서 많이 채취됩니다.주요 특징외형: 이른 봄에 나오는 어린잎은 둘둘 말려 있고, 흰 솜털이 많으며, 잎자루는 붉은 갈색 털로 덮여 있습니다. 고사리와 비슷하지만 더 굵고 통통하며, 머리 부분이 꼬불꼬불하고 털이 무성합니다.생장: 땅속줄기는 짧고 굵으며, 덩이 모양으로 비스듬히 자랍니다. 암수 모두 한 뿌리에서 올라오고, 높이는 60~100cm까지 자랍니다.채취: 4~5월 어린순을 채취해 식용으로 사용하며, 채취 시기를 놓치면 질겨져 식용이 어.. 2025. 6. 7.
고추나물(고추잎나물) 효능 및 부작용, 먹는 방법 고추나물(Hypericum erectum)은 물레나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산이나 들의 약간 습한 곳에서 자랍니다. 한반도 전역, 일본, 사할린 등지에 분포하며, 키는 20~60cm까지 자랍니다. 줄기는 둥글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집니다. 잎은 서로 마주나고, 타원형 또는 피침형(창끝처럼 뾰족한 모양)이며, 길이 2~6cm 정도로 잎 표면에 작은 흑점이 흩어져 있습니다.여름(7~8월)이 되면 줄기나 가지 끝에 노란색 꽃이 여러 개 피며, 각각의 꽃은 5장의 꽃잎과 많은 수의 수술(3무리로 나뉨)을 가집니다. 열매는 삭과로, 길이 5~11mm의 달걀 모양이며,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습니다.명칭과 유래학명: Hypericum erectum한약명: 소연교(小連翹)별칭: 고추풀, 배초, 배향초,.. 2025. 6. 7.
자색양배추(적양배추)의 효능, 먹는 방법, 주의사항 자색양배추란?자색양배추(적양배추, 영어로 Red Cabbage)는 일반 양배추와 비슷한 형태이지만, 잎이 붉은 보라색(자색)을 띠는 양배추입니다. 이 색은 주로 안토시아닌이라는 천연 색소 성분 때문입니다.특징 및 분류자색양배추는 배추과(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채소로, 원산지는 유럽 및 지중해 연안입니다.일반 양배추와 마찬가지로 단단하게 결구된 둥근 형태를 가지며, 잎의 색이 진한 보라색 또는 자주색을 띱니다.자색양배추의 보라색은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기 때문이며, 이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합니다.영양성분 및 건강 효능자색양배추는 비타민 C, 비타민 K, 비타민 A, 칼륨, 식이섬유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특히 안토시아닌, 폴리페놀 등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세포 손상 방지.. 2025. 6. 6.
자색당근 효능 및 먹는 방법, 부작용, 주의사항 자색당근이란?*자색당근*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익숙한 주황색 당근과 달리, 표면과 내부가 짙은 보라색(자색)을 띠는 당근입니다. 이 보라색은 주로 안토시아닌이라는 천연 색소 성분 때문입니다.기원 및 특징자색당근은 인류가 최초로 재배한 당근 중 하나로, 기원전 2000년경 이집트 벽화에도 등장할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10세기부터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란 등 고산지대의 척박한 환경에서 주로 재배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경기 남부 지역에서 재배됩니다.당근의 원래 색은 보라색이나 흰색이었고,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변종을 통해 주황색 당근이 만들어져 현재의 일반적인 당근이 되었습니다.주요 성분과 효능자색당근은 일반 당근에 비해 안토시아닌 함량이 약 20배 이상 높으며, 이 성분은 강력한 항산.. 2025. 6. 5.
찰흑미 영양성분, 효능, 주의사항, 찰흑미 요리 찰흑미란?찰흑미는 일반 흑미보다 찰기가 더 많은 쌀의 한 종류로, 겉은 검은색이지만 속은 하얗고, 밥을 지었을 때 쫀득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주로 백미와 섞어 밥을 짓거나 잡곡밥, 떡, 리조또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됩니다.주요 특징찰기: 일반 흑미보다 찰기가 많아 밥맛을 더욱 좋게 해줍니다.색상: 밥에 소량만 넣어도 보랏빛 혹은 검은빛이 돌며, 시각적으로도 매력적입니다.포장 및 보관: 투명 용기나 페트병에 보관하면 산화를 막을 수 있고, 벌레 방지를 위해 마른 홍고추와 함께 보관하기도 합니다. ※ 찰흑미 영양성분찰흑미는 일반 백미와 비교해 다양한 영양소와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된 곡물입니다.주요 영양성분(100g 기준)영양성분함량칼로리약 350 kcal탄수화물약 75g단백질약 8~9g지방약 2g식이.. 2025. 6. 4.
기린초 효능, 기린초 부작용 및 주의사항 기린초란기린초(麒麟草, 학명: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는 돌나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중국, 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는 산야초입니다.생태 및 특징키는 15~30cm 정도이며, 줄기는 굵은 뿌리줄기에서 여러 개가 모여 납니다.잎은 어긋나고 육질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6~8월에 노란 꽃이 원줄기 끝에서 무리지어 피며, 꽃잎은 5장이고 끝이 뾰족합니다.바위나 돌 위, 산지의 양지바른 곳에서 주로 자라며, 건조한 환경에도 잘 견디는 강인한 식물입니다.이름 유래기린초라는 이름은 전설 속 상상의 동물인 ‘기린’의 뿔 모양을 닮은 잎과 꽃에서 유래했습니다.활용어린 잎은 나물로 데쳐 먹거나 생식하며, 한방에서는 이뇨, 강장, 지혈, 해독, 혈액순.. 2025. 6. 4.
곤대서리 효능 및 먹는 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 곤대서리란곤대서리(서덜취)는 한국에서 자라는 산채류 중 하나로, 울릉도와 강원도 등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입니다. 울릉도에서는 ‘곤달비’ 또는 ‘곤데서리’라고도 부르며, 강원도에서는 ‘곤대서리’, 지리산과 덕유산 인근에서는 ‘청옥’이라고 불립니다. 칼슘과 철분 등 미네랄이 풍부해 건강식으로도 가치가 높습니다.특징 및 분포다년초로써 산채류 중 드물게 날 것으로 먹을 수 있는 귀한 산나물입니다.주로 높은 산골짜기, 습기가 있는 깊은 산지에서 자랍니다.칼슘, 인, 철분 등 미네랄이 풍부하여 영양가가 높습니다.용도어린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거나 쌈으로 활용합니다.향이 부드럽고 맛이 좋아 산나물로 인기가 많습니다. ※ 곤대서리 주요 효능곤대서리(서덜취, 청옥취, 전옥취)는 깊은 산 습지에서 자라는 .. 2025. 6. 4.
곤달비 효능 및 먹는 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 곤달비란곤달비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다년생 초본식물)로, 주로 한국의 남부 도서 지역과 깊은 산 습지, 고산지대 등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산나물입니다. 학명은 Ligularia fischeri입니다.주요 특징외형: 잎은 넓고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뚜렷한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가 길고, 잎 뒷면은 약간 흰빛을 띱니다.크기: 줄기는 40~100cm(때로 1~2m)까지 곧게 자라며, 뿌리줄기가 굵고 여러 개가 모여 포기를 이룹니다.꽃: 7~9월경 노란색 작은 꽃이 줄기 끝에 원추형으로 모여 핍니다.분포: 우리나라 남부, 특히 전남 홍도 등에서 자생하며, 일본·대만·중국 등에도 분포합니다.이름 유래: 곰의 발바닥을 닮은 잎 모양에서 ‘곰’이, 산에서 나는 식물을 뜻하는 ‘돌뵈’.. 2025. 6. 3.
가락지나물(가사항락지나물) 효능 및 부작용, 주의사항 가락지나물(가사항락지나물)이란가락지나물은 장미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Potentilla kleiniana입니다. 주로 들판, 논밭둑, 습기 있는 곳, 길가 등에서 자라며, 전국적으로 분포합니다. 가락지나물은 손가락 모양의 잎과 노란 꽃이 특징인 장미과 여러해살이풀로, 봄나물과 약초로 널리 활용되는 식물입니다.주요 특징외형: 키는 20~60cm 정도로 자라며, 줄기는 비스듬히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나기도 합니다.잎: 밑동에서 나는 뿌리잎(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작은 잎이 5개인 손가락 모양(장상복엽)입니다. 줄기에는 3개씩 잎이 달립니다.꽃: 5~7월에 노란색 꽃이 가지 끝에 피며, 꽃잎은 5장입니다.이름 유래: 어린이들이 꽃을 따서 가락지(반지)를 만들어 놀던 데서 유래했으며, 잎 모양이.. 2025. 6. 3.
깨나물(오리방풀) 효능 및 주의사항 / 깨나물의 특징 깨나물이란*깨나물*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오리방풀입니다. 주로 한국의 야산이나 산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생하며, 잎의 모양이 깻잎과 비슷해 ‘깨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주요 특징분류: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생육 환경: 야산이나 산지의 양지쪽에서 자람분포: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 일본 등지에 분포크기: 높이 50~100cm 정도로 자람잎: 잎은 마주나며(대생), 난상 원형에 가까우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음. 윗부분의 잎은 거북꼬리처럼 변형됨꽃: 여름에 피는 야생화식용: 어린잎을 나물로 무쳐 먹거나 데쳐 먹음이름의 유래잎이 깻잎과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깨나물’이라 불립니다. 학명인 오리방풀(혹은 오리방풀나물)로도 불리며, 봄철 산나물로 인기가 많습니다.용도식용: 어린잎을 나.. 2025. 6. 3.
약초 종류 100개 번호약초명(한글/영문)간단한 설명1인삼 (Ginseng)면역력 증진, 피로 회복, 원기 보강2홍삼 (Red Ginseng)항산화, 면역력 강화, 피로 개선3감초 (Licorice)해독, 진정, 소화 촉진4황기 (Astragalus)면역력 강화, 체력 증진5당귀 (Angelica)혈액순환, 여성 건강, 빈혈 예방6천궁 (Cnidium)두통, 혈액순환 개선7작약 (Peony)근육 이완, 진통, 생리통 완화8구기자 (Goji berry)눈 건강, 간 기능 강화9오미자 (Schisandra)간 건강, 피로 회복, 기침 완화10맥문동 (Ophiopogon)기관지 건강, 진정, 기침 완화11영지버섯 (Reishi)면역력 강화, 항암, 간 기능 개선12오가피 (Acanthopanax)관절 건강, 근육 강화, 피로 회.. 2025.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