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래의 효능 및 부작용, 달래 무침 만드는 법
달래는 3월~4월 봄철 대표 나물 중 하나인데요. 백합과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키는 5~12cm 정도이며, 겉껍질이 두껍고 아래쪽에는 수염뿌리가 있습니다. 예로부터 달래는 들에서 자라는 약재로 생각하여 봄철 임금님께 바치던 고급 식재료 중 하나였습니다. 맛과 향이 마늘과 유사하여 산마늘, 들에서 나는 약은 마늘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달래에는 비타민, 탄수화물, 인, 철, 칼슘 등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알칼리성 식품입니다. 또한 다량의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봄철 식욕부진, 춘곤증, 여성질환, 빈혈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달래는 줄기, 잎을 식용으로 이용하는데, 무침, 쌈, 된장국, 달래전 등으로 여러 가지 요리로 먹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달래 술을 담가 드시기도 하는데..
2022. 1. 11.
냉이 효능 및 부작용, 냉이 종류, 먹는 방법
냉이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과 밭에서 자라고 원줄기는 높이 25~50cm 정도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있고 뿌리는 곧고 백색이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지면으로 퍼지고 잎몸은 길이 5~10cm 정도이며 우상으로 갈라진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작아져서 잎자루가 없어지고 끝에서는 큰 치아상으로 된다. 5~6월에 총상으로 백색 꽃이 달린다. 맛은 달고 평하며 씨앗도 달고 평하다. 비장을 이롭게 하고 이수, 지혈, 명목하며 씨앗은 거풍, 명목한다. 이질, 이뇨작용, 전신이 붓고 소변을 잘 못 보고 소변 색깔이 우윳빛인 증상에 효험이 있다. 또한 토혈, 대변 출혈, 자궁 출혈, 생리의 양이 많을 때의 지혈 반응, 눈이 충혈되고 아픈 증상, 해산 후 전신부종, 임상보고에서 홍역을 예..
2021. 10. 4.
씀바귀 효능 10가지와 부작용, 씀바귀 고르는 법, 종류
씀바귀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합니다. 고채, 유동, 쓴나물, 씀배나물, 씀바기 등의 별칭을 가집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산야에서 자랍니다. 봄나물 중 강한 쓴 맛을 갖고있으며, 특유의 쓴맛과 풍미로 뿌리오 잎 모두 입맛을 돋우는 식재로 활용됩니다.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쓴맛이 나는 흰 즙이 나옵니다. 식용, 약용으로 이용되며 이른 봄에 어린순과 뿌리를 나물로 먹습니다. 살짝 데쳐 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 뒤 무치거나 볶습니다. 잎은 쌈을 싸먹어도 좋으며, 약으로 쓸 때는 생즙을 내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섬유질이 풍부하고 열량이 적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며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여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소화기능을 돕습니다. 씀바귀 효능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봅니..
2021.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