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8

자연적인 천연 소화제 천연 소화제천연 소화제는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자연 식품이나 전통 재료를 통해 소화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천연 소화제의 종류와 각각의 소화 촉진 원리, 섭취법, 주의사항을 구체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1. 무소화 촉진 성분: 디아스타제(전분 분해 효소), 에라스타제(단백질·지방 분해 효소)효과: 전분, 단백질, 지방 등 다양한 영양소의 소화를 촉진하고, 위장 기능을 강화합니다. 식이섬유가 풍부해 장운동 촉진 및 변비 예방에도 좋습니다.섭취법: 껍질에 효소가 많으므로 껍질째 생으로 먹거나, 무즙, 무생채, 국 등에 활용합니다.2. 매실(매실청)소화 촉진 성분: 구연산 등 다양한 유기산효과: 소화액과 소화 효소 분비를 촉진해 급성 소화불량, 체기 해소에 효과적입니다. 신맛 성분이 위장.. 2025. 6. 29.
콩잎 영양 및 효능,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콩잎 장아찌 만드는 법 콩잎은 경상도와 제주도에서 사용되던 식재료입니다. 주로 소금물에 삭혀둔 콩잎에 멸치 액젓, 국간장, 고춧가루, 다진 마늘∙생강 등의 양념을 해서 김치로 먹지만 된장에 박기도 하고, 양념장에 버무리거나 장아찌로 먹기도 하고 물김치, 쌈 등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먹습니다.여름철 푸른 콩잎이나 가을철 노랗게 약간 물든 단풍 콩잎 모두 사용하고 푸른 콩잎은 깻잎보다도 부드러운 식감으로, 단풍 콩잎은 줄기를 훑어내며 먹는 재미로 먹습니다.19세기 초 저술된 농서인 에 ‘콩잎을 다 따먹으면 콩알에 기름기가 적어지고 수확량이 줄어들게 된다.’라는 기록이 남은 것으로 보아 콩잎을 먹은 역사는 오래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최근 제주도는 쌈과 차 등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여 지역 특산물로 내는가 하면 기능성 식품의 성분 재료로.. 2025. 6. 26.
먹장어(곰장어, 꼼장어) 효능 및 부작용, 영양성분 먹장어란 이름은 눈이 퇴화되어 피부에 흔적만 남아 ‘눈이 먼 장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전 세계에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한국에서는 부산의 토종음식으로 유명하다. 먹장어란 이름보다는 곰장어 혹은 꼼장어로 잘 알려져 있다. 가죽을 벗겨 내도 한참 동안 살아서 ‘꼼지락 꼼지락’ 움직인다고 하여 붙여진 별명이다.먹장어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균형 잡힌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당뇨, 다발성 경화증, 편두통, 우울증 및 암 예방효능이 있는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음식이다. 곰장어에는 발육촉진, 시력회복, 피부와 점막의 건강유지, 정력강화 등의 효능이 있는 비타민 A가 많이 들어있다. 주로 찜, 볶음, 구이에 사용한다.※ 곰장어 영양성분조리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꼼장어 구이의 경우 100g당 2.. 2025. 6. 26.
수정과 효능 및 수정과 만드는 법 수정과는 우리나라 전통 음료 중 하나로써 계피와 생강을 달여 만든 물에 개인 기호에 따라 꿀 또는 설탕을 넣은 다음 잣이나 곶감을 띄워 마시는 음료입니다. 특히 수정과는 설날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로써 사계절 내내 상관없이 언제든지 마시는 맛 좋은 음료입니다.쌉쌀한 매운맛과 더불어 은은한 단맛이 잘 어울리는 수정과는 생강과 계피, 곶감 등에 풍부하게 함유된 영양 성분들로 인해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는 좋은 효능들이 많습니다.수정과 효능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봅니다.※ 수정과 효능면역력 강화에 좋음수정과 재료에 첨가되는 생강의 진저롤 성분과 곶감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비타민C와 베타카로틴 성분은 체내에서 신진대사를 활성화하여 혈액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 면역력을 강화하는데 뛰어난 작용을 하는.. 2025. 6. 26.
병어 영양성분, 특징, 효능, 병어 요리, 부작용 및 주의사항 병어란 무엇인가병어는 학명 Pampus argenteus로, 병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입니다. 몸은 납작하고 타원형 또는 마름모꼴에 가까운 형태이며, 은빛 광택이 도는 비늘이 거의 없는 외형이 특징입니다. 주로 우리나라 남해와 서해, 동중국해, 제주 연안 등 깨끗한 해양에서 서식하며, 몸길이는 최대 약 60cm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외형적 특징몸이 둥글고 납작하며, 마름모꼴 또는 타원형에 가까움등 쪽은 푸르스름한 은백색, 배 쪽은 흰색이며 전체적으로 금속광택이 남비늘이 거의 없고, 쉽게 벗겨짐주둥이는 뭉툭하고, 양턱에 아주 작은 이가 있음머리 바로 뒷부분에 물결 무늬(파상 주름)가 있음※ 생태와 분포병어는 대륙붕의 수심 100m 이내에서 주로 발견되며, 산란기는 4~8월로 이 시기에 연안의 수심 10.. 2025. 6. 15.
간지(干支).천간(天干).지지(地支)의 뜻 ‘매년 우리는 무슨 해다, 어떤 해다’라고 듣는다. 이러한 것은 간지(干支)라고 하며 천간(天干-하늘)과 지지(地支-땅)의 조합으로 총 60개다. ‘ 간지 = 천간과 지지의 조합●천간(十干) = 甲(갑) 乙(을) 丙(병) 丁(정) 戊(무) 己(기) 庚(경) 辛(신) 壬(임) 癸(계) (10개)●지지(十二支) =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십이지신(十二支神)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땅을 지키는 열두 신장으로 ‘십이신장(十二神將)’ 이나 ‘십이신왕(十二神王)’이라고도 불린다. [간지]甲【갑】첫째 천간 ; 첫째(가다); 시작하다; 껍질 껍데기; 갑옷; 손톱; 등; 아무;乙【을】새; 둘째 천간 (남방 오행: .. 2025. 6. 15.
붉은산삼 지치(자초) 특징, 효능, 먹는 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 지치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가 굵고 자주색을 띠어 자초(紫草)라고도 불립니다. 예로부터 약성이 뛰어나 산삼을 능가하는 약초로 여겨졌으며, 도교에서는 불로초로 여겼다고도 합니다.※ 지치의 특징지치는 뿌리가 붉은 자주색을 띠는 여러해살이풀로, 약용·식용·염료·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전통 약초입니다. 아래에 주요 특징을 정리합니다.1. 식물학적 특징학명: Lithospermum erythrorhizon분류: 쌍떡잎식물, 꿀풀목, 지치과형태: 키 30~7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줄기와 잎, 가지에 위로 향한 잔털이 많음.뿌리: 굵고 깊게 뻗으며, 붉은 자주색(보라색)으로 인삼 모양처럼 갈라짐.분포: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의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 자생.2. 주요 성분시코닌(Shikoni.. 2025. 6. 11.
산마(참마,신약) 효능, 부작용 및 주의사항, 먹는 방법 산마 덩굴산마는 흔히 참마(산약)라고도 불리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뿌리(덩이뿌리)를 약재와 식재료로 널리 활용합니다. 산마의 덩굴은 아래와 같은 특징과 효능을 가집니다. 산마 덩굴의 특징식물 분류: 박주가리과(또는 마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산이나 들에서 자랍니다.생김새: 줄기가 길게 뻗으며, 다른 식물이나 지지대를 타고 올라가는 성질이 강합니다.잎과 꽃: 잎은 심장형 또는 타원형이고, 여름철에 작은 꽃이 핍니다.덩이뿌리: 땅속에 긴 원통형의 덩이뿌리를 형성하며, 이 부분을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합니다.활용 및 섭취식용: 덩이뿌리를 쪄서 먹거나 갈아서 죽, 즙, 반찬 등에 활용합니다.약용: 한방에서는 산마를 달여 복용하거나 가루로 만들어 먹습니다.외용: 생것을 짓찧어 외상 부위에 바르기도 합니다.. 2025. 6. 11.
백하수오(백수오,콘조롱) 효능과 부작용 및 먹는 방법 백하수오란백하수오는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의 뿌리를 말하며, 한약명으로는 '백수오' 또는 '콘조롱'이라고도 불립니다. 뿌리가 희고 굵으며, 전통적으로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 중 하나로 꼽힐 만큼 귀하게 여겨져 왔습니다.주요 특징외형: 뿌리가 희고 굵으며, 적하수오(뿌리가 붉은색)와 구분됩니다.자생지: 국내에서는 자생량이 많지 않고, 주로 약용으로 재배됩니다 .맛과 성질: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다고 전해집니다.※ 백하수오 주요 효능백하수오는 뿌리가 희고 굵은 박주가리과의 약용식물로, 동의보감 등 전통 의학과 현대 연구에서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아래에 주요 효능을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1. 원기 회복 및 강장 효과백하수오.. 2025. 6. 11.
우계묵이란? 우계묵 효능 및 주의사항, 우계묵 만드는 방법 우계묵이란우계묵은 관절 건강에 좋은 약선 음식으로, 주재료는 우슬(쇠무릎)과 닭발입니다. 이름에서 ‘우(牛)’는 우슬(쇠무릎), ‘계(鷄)’는 닭발, ‘묵’은 젤리 형태의 묵을 뜻합니다. 즉, 우슬과 닭발을 함께 오랜 시간 고아 만든 묵 형태의 건강식입니다.주요 특징 및 효능닭발에는 콜라겐과 콘드로이친 같은 성분이 풍부해 관절 건강, 피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우슬(쇠무릎)은 전통적으로 뼈와 관절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약초로, 항염증 효과와 칼슘 흡수 촉진, 골다공증 예방 등에 쓰입니다.두 재료를 함께 달여 젤리처럼 굳힌 뒤, 묵처럼 썰어 먹거나 중탕해서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만드는 방법(요약)닭발과 우슬(건조 또는 생)을 깨끗이 손질해 함께 넣고 오랜 시간(4~8시간) 푹 끓입니다.필요에 따.. 2025. 6. 11.
선지(선지국) 효능, 먹는 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 선지란?선지는 짐승을 도축하여 받은 피를 식혀 굳힌 덩어리를 뜻합니다. 주로 소나 돼지의 피를 사용하며, 이 굳어진 선지는 한국 요리에서 국이나 찌개의 재료로 많이 쓰입니다.어원‘선지’라는 말은 만주어 ‘성기(sənggi)’에서 유래한 것으로, ‘피’를 뜻합니다.옛 문헌에서는 ‘선디’라는 표현이 있었으며, 이것이 변형되어 오늘날 ‘선지’가 되었다고도 합니다.쓰임과 활용음식 재료: 선지는 선짓국, 해장국, 순대 등 한국 전통 음식에 널리 활용됩니다.선짓국: 사골국물에 소의 선지와 시래기를 넣어 끓인 국으로, 숙취 해소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순대 재료: 돼지 선지는 순대 속 재료로도 사용됩니다.기타 동음이의어‘선지’는 ‘앞일을 미리 앎’(先知), ‘선조가 남긴 뜻’(先志), ‘임금의 명령을 널리 선포함’.. 2025. 6. 7.
각시취 효능, 부작용 및 주의사항 각시취란?각시취(Saussurea pulchella)는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동시베리아, 사할린 등지의 산지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생합니다. 키가 크고 줄기가 튼튼하며, 여름철(5~8월)에 자주색, 진분홍색, 또는 연한 자주색의 화려한 꽃이 피는 것이 특징입니다.주요 특징외형: 줄기는 곧게 서고, 끝에서 가지가 갈라집니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이고 깃꼴로 6~10쌍씩 갈라집니다. 잎과 줄기에는 털이 많아 '참솜나물'이라는 별명도 있습니다.꽃: 꽃은 머리모양(두상화)으로, 자주색·진분홍색·연자주색 등 화려한 색을 띱니다. 꽃말은 '연정'입니다.분포: 한국을 비롯해 동북아시아의 산지에서 흔히 자랍니다.다른 이름: 참솜나물, 나래취, 나래솜나물, 민각.. 2025.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