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살이 효능 및 먹는 법, 끓이는 법/술 담그는 법
겨우겨우 간신히 살아간다 하여 겨우살이, 또는 겨울에도 푸르다고 하여 겨울살이라고 불리다가 겨우살이로 되었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한자로 ‘동청(凍靑)’이라고 하니, 겨울살이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이야기가 더 신빙성이 있다. 겨우살이는 주로 참나무 종류의 큰 나무 위 높다란 가지에 붙어서 자라는 ‘나무 위의 작은 나무’로서 멀리서 보면 영락없는 까치집이다. 모양은 풀 같지만 겨울에 어미나무의 잎이 다 떨어져도 혼자 진한 초록빛을 자랑하기 때문에 늘 푸른 나무로 분류된다. 가을이면 굵은 콩알만 한 노란 열매가 열린다. 맑은 날 햇살에 비치는 반투명 열매는 영롱한 수정처럼 아름답다. 겨우살이는 나무줄기 위에 사는 착생식물로 참나무, 팽나무, 뽕나무, 떡갈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 오리나무, 밤나무, 소..
2021. 10. 30.
멸치 효능과 부작용, 손질법, 보관법, 고르는 법, 영양성분
멸치는 몸길이가 13cm가량인 바닷물고기입니다. 몸은 긴 원통형으로 위턱은 돌출되어있으며, 등 쪽은 검푸른 빛을 띱니다. 연안 회유성 어종으로 무리를 지어 서식하며 봄, 가을에 한차례씩 산란합니다. 서해,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동해 남부에 출현합니다. 한국인의 식생활에 밀접한 어류이며, 치어나 미성어는 그냥 삶고 말려 볶음으로 이용하고 성어는 국거리용, 생체는 젓갈로 이용합니다. 멜, 며루치, 멸, 메루치, 멸어 등으로도 불립니다. 단백질과 칼슘 등 무기질이 풍부한 멸치는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좋고, DHA 성분이 두뇌발달에 좋은 효과를 주기 때문에 유아, 어린이, 성인 모두 먹으면 좋은 필수 식품입니다. 봄멸치는 3월 중순 ~ 5월 중순이 제철이고 가을 멸치는 9~10월이 제철입니다. 멸치는 크게 6종..
2021. 10. 7.